본문으로 바로가기

 

 


1. 칼레트라란?

칼레트라(Kaletra)는 2000년에 시판된 에이즈 치료 약으로 Lopinavir Ritonavir두 성분이 복합되어 있는 약입니다. 칼레트라는 에이즈 바이러스(HIV)의 Protease(단백질 분해 효소)를 억제해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해 에이즈의 질병 진행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번 코로나 19 사태에서 칼레트라는 대한감염학회에서 발행한 ‘코로나 19 (COVID-19) 약물 치료에 관한 전문가 권고안’에 포함되는 치료 약물로, 후술할 임상시험 이전까지는 우리나라에서 1차 치료제로 사용했던 약물입니다.


2. 왜 코로나 19에 사용할까?

 

 

 

1) 에이즈 바이러스(HIV)와 코로나-19(SARS-CoV-2)는 모두 RNA를 유전정보로 가지고 있는 RNA 바이러스이며, 증식하기 위해서는protease라는 효소가 필요하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Protease를 표적으로 하는 약물을 사용한다면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2) 또한, 2002년 사스바이러스(SARS-CoV)에대해 칼레트라가 치료 효과가 있음이 논문으로 밝혀졌으며,

2012년 메르스 바이러스(MERS-CoV)가 발생했을 때에도 동물실험에서 메르스 바이러스 증식 억제에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으며, 현재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임상시험을 진행할 정도로 효과가 어느정도 입증되어 있습니다.

 

이와 같이, 약물의 기전 상으로 코로나 바이러스를 억제할 수 있고, 같은 코로나바이러스과(Coronaviridae)인 SARS, MERS 치료에 효과가 있었기 때문에 일차적으로 칼레트라를 코로나 치료 약물로 사용한 것이라 생각됩니다.


3. 임상시험 실패?

 

3월 20일 영국 의학저널인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NEJM)에서 발표된 논문인

‘A Trial of Lopinavir–Ritonavir in Adults Hospitalized with Severe Covid-19’

(=중증 코로나-19 입원 환자에 대한 칼레트라 임상시험)

https://www.nejm.org/doi/full/10.1056/NEJMoa2001282

 

A Trial of Lopinavir–Ritonavir in Adults Hospitalized with Severe Covid-19 | NEJM

Original Article from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 A Trial of Lopinavir–Ritonavir in Adults Hospitalized with Severe Covid-19

www.nejm.org

 

에서 칼레트라가 이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효과가 없다는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이번 임상시험에서는 중증의 코로나-19 환자 199명에 대해서 99명은 칼레트라+표준치료(항생제, 산소요법), 나머지 100명은 표준치료만 제공하고 14일간 경과를 관찰, 비교했습니다.

 

임상시험 결과, 칼레트라를 추가로 투여한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증상 개선/사망률/바이러스 수등의 수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못해 칼레트라가 효과가 없다는 것을 밝혀주는 결과가 되었습니다.

 

 


 

4. 논문의 한계 & 진행 중인 임상 시험

 

위 논문의 연구진들은 이 연구에 대해

 

  1. Not blinded된 임상시험이라 환자/의료진의 주관적인 편향이 작용했을 수 있다
  2. 증상 발현 후 12일 내 칼레트라를 투여했을 때 사망률이 낮게 나왔다 (=일찍 투여했을 때 효과가 있을 가능성?)

 

 

라는 한계점을 지적하며 추가적인 연구가 더 필요함을 언급했습니다.

 

이 임상시험의 결과가 발표됨과 거의 동시에 클로로퀸(Chloroquine)이 코로나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논문이 발표되었고, 4월 10일에 렘데시비르(Remdesivir)역시 코로나 19 치료에서 68% 개선 효과가 있다는 논문이 발표되면서 칼레트라보다 다른 약물에 이목이 집중될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그러나, 경증 코로나 환자 치료(NCT04307693) 및 다른 임상 연구들도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이후의 연구에서 어떠한 결과가 나올 지도 계속적으로 관찰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서울아산병원에서 진행중인 경증 COVID-19 환자에 대한 임상시험

 

 

 

Yao, T. T., Qian, J. D., Zhu, W. Y., Wang, Y., & Wang, G. Q. (2020). A Systematic Review of Lopinavir Therapy for SARS Coronavirus and MERS Coronavirus–A Possible Reference for Coronavirus Disease‐19 Treatment Option.Journal of medical virology.

Cao, B., Wang, Y., Wen, D., Liu, W., Wang, J., Fan, G., ... & Li, X. (2020). A trial of lopinavir–ritonavir in adults hospitalized with severe Covid-19.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Chu, C. M., Cheng, V. C. C., Hung, I. F. N., Wong, M. M. L., Chan, K. H., Chan, K. S., ... & Peiris, J. S. M. (2004). Role of lopinavir/ritonavir in the treatment of SARS: initial virological and clinical findings.Thorax, 59(3), 252-256.

Que, T. L., Wong, V. C. W., & Yuen, K. Y. (2003). Treatment of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with lopinavir/ritonavir: a multicentre retrospective matched cohort study.Hong Kong Med J, 9(6), 399-406.

Chan, J. F. W., Yao, Y., Yeung, M. L., Deng, W., Bao, L., Jia, L., ... & Cai, J. P. (2015). Treatment with lopinavir/ritonavir or interferon-β1b improves outcome of MERS-CoV infection in a nonhuman primate model of common marmoset.The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 212(12), 1904-1913.

Arabi, Y. M., Alothman, A., Balkhy, H. H., Al-Dawood, A., AlJohani, S., Al Harbi, S., ... & Al-Hameed, F. (2018). Treatment of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with a combination of lopinavir-ritonavir and interferon-β1b (MIRACLE trial): study protocol for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Trials, 19(1), 81.

 

 

 

 

 

 


약대생A의 블로그
블로그 이미지 약대생A 님의 블로그
VISITOR 오늘 / 전체